영어학습사전 Home
   

노동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AFL-CIO 미 노동총연맹 산업별회의

agencyshop 에이젼시 숍(미 가입자도 조합비를 무는 노동 조합 형태의 하나)

anarchosyndicalism 〔æn`a∂rkous´indik∂l`izm〕 무정부주의에 기초를 둔 노동조합 운동 사상

antiunion 〔`æntij´u:nj∂n〕 노동 조합 반대의

Arkie 〔´a∂rki〕 Arkansas출신의 유랑 농부, 이동 농업 노동

autoworker 〔´o:t∂w`∂:rk∂r〕 자동차 제조 노동

boomer 〔b´u:m∂r〕 신흥지역으로모이는사람, 뜨내기 노동자, 큰 수캥거루

bracero 〔br∂´ε∂rou〕 (미국의)멕시코인 계절 농장 노동

callon 〔ko:l`an〕 (구직항만 노동자의 책임자로부터의)호출대기

CGT confederation generale du travail 프랑스 노동 총동맹

chain gang 한 사슬에매인 옥외 노동 죄수들

child babor 미성년 노동(미국에서는 15세 이하)

class 〔klæs〕 (공통적 성질을 가진)종류, 부류, 종, 유, (학교의)클래스, 학급, 반, (클래스의)학습 시간, 수업, (편물.요리 등의)강습, 클래스의 학생들, 동기 졸업생(학급), (군대의)동기병, (사회적)계급, 계급제(제도), 상류(중류, 하층, 노동)계급, 상류계급, 상류사회, (품질.정도에 의한)등급, 우수, 탁월, (옷.행위 등의)우아함, 품위, 고급, 우등시험의 합격 등급, (동식물 분류상의)강, 계급의, 계급적인, 학급의, 반의, 우수한, 일류의, 품위있는, 멋진, 분류하다, 등급(품등)을 정하다, (학생을)조로 나누다, (학새을)...의 반에 두다, (어느 class에)속하다, 분류되다

cleanfingernails 〔kli:nfiŋg∂rn`eils〕 (육체 노동을 하지 않아서 손톱이 깨끗한)상류 계층, 특권층

closed shop 클로스드숍, 노동조합원만을 고용하는 사업장, 컴퓨터 사용 방법의 하나, 프로그램 작성 및 조작 등을 전문 담당자가 하는 방식

cloth-cap 〔klo:θkæp〕 노동계급의(에 속하는)

codetermination 〔k`oudit`∂rmin´ei∫∂n〕 (정부와 의회의)공동(정책)결정, 노동자의 경영참여

computopia 〔k´ampju:t´oupi∂〕 컴퓨터 보급으로 인간이 노동에서 해방되리라는 미래의 이상 사회

coolie, -ly 〔k´u:li〕 (Hind.)(인도.중국등의)쿨리, 하급 노동

dockwalloper 〔dakw`al∂p∂r〕 (미)둑(부두)의 임시 노동자, 부두(선창)부랑자

drifter 〔dr´ift∂r〕 표류자(물), 유망 어선, (유망이 달린)소해선, 유랑 노동

dungaree 〔d`∧ŋg∂r´i,〕 인도산의 굵게짠 무명, 작업복, 노동

employed 〔impl´oid〕 취직(취업)하고 있는, 고용자들, 노동자(보통 한 나라, 한지역의 취업자 전체를 말함)

ergatocracy 〔`∂:rg∂t´akr∂si〕 노동자 정치

ergolatry 〔∂:rg´al∂tri〕 노동숭배

farm hand 농장 노동

field hand 농장 노동

fiveday week 1주 5일 노동

forester 〔f´o:rist∂r〕 삼림관, 산림 감독관, 산림지 거주자, 산림 노동자, 숲의 동물, (특히 숫놈의) 대형 캥거루, 알락나방의 일종

forgotten man (부당하게) 망각된 사람(중산 계급, 노동자 계급에 속하는)

free labor 자유민의 노동, 비조합 노동

Gaitskell 〔g´eisk∂l〕 게이츠켈(영국의 경제학자, 정치가, 노동당 당수)

gang 〔gæŋ〕 (노예, 노동자등의)일단, 패, (악한의)일당, 놀이친구, 한동아리, (조립식도구의)한 벌 , 집단을 이루다

green card (특히 멕시코인 등 외국인 노동자에게 발부하는 미국에의)입국 허가증, 국제 자동차 사고 상해 보험증

half time 반일 노동, 반일급, 중간 휴식

hard hat =derby, (공사 작업원의)안전모, 헬멧, (안전모를 쓴)건설 노동자, 극단적인 보수(반동)주의자, 강경 탄압주의자

headword 〔h´edw`o:rd〕 머리 쓰는 일, 정신 노동

headwork 〔h´edw`∂:rk〕 정신 노동, 사색

hinterurbia 〔h´int∂:rbi∂〕 도시 노동자가 사는 먼 교회

hobo 〔h´oubou〕 부랑자, 뜨내기 노동

hunky 〔h´∧ŋki〕 건장한, 튼튼한, 무승부의, 비긴, 외국 태생의 미숙련 노동자(특히 헝가리 등지의)

ICFTU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국제자유 노동 조합연맹

idle cost 유휴비, 무효 원가(시설, 노동력을 충분히 활용 못한 데서 오는 손실)

IFTU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rade Unions국제 노동 조합연합회

ILO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Office)국제 노동기구

industrial action 노동자측의 쟁의 행위

industrial life insurance 노동자 생명보험, 간이 생명보험

industrial union 산업별 노동조합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국제 노동 기구(ILO)

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 국제 노동자 동맹(별칭First INTERNATIONAL)

Internationale 〔´int∂rn´æ∫∂n´æl,-n´a:l〕 인터내셔널의 노래(공산주의자들이 부르는 혁명가)국제 노동자동맹(International)

international 〔`int∂rn´æ∫∂n∂l〕 국제(상)의, 국제(간)의, 국제적인, 만국의, 국제간에 정해진, 국제신호의, 국제경기출전자, 국제 경기대회, 국제 노동자 동맹, 인터내셔널(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

invandrare 〔´inv´andr´a:r∂〕 (스웨덴에서 일하는)외국인 노동

LAB Labor Advisory Board 노동 자문위원회

Labor Day 노동절(9월 첫째 월요일, 미국, 캐나다 이외에은 5월 1일)

Labor Department 노동

labor market 노동시장

labor offensive 노동공세

labor turnover 노동자 이동수

labor union 노동조합

laborer 〔l´eib∂r∂r〕 노동

laboring 〔l´eib∂riŋ〕 노동하는

laborintensive 〔l´eib∂rint´ensiv〕 노동 집약형의

laborism 〔l´eib∂r`izm〕 노동당(노동 조합)의 주의(정책)

laborite 〔l´eib∂r`ait〕 노동자 옹호 단체의 일원, 노동자 옹호 정당원, 노동당원(지지자)

laborsaving 〔l´eib∂rs`eiviŋ〕 노동 절약의(이 되는)

labor 노동, 근로, 노력, 수고, 진통, hard ~ 중노동, in ~ 분만중에, ~ of love 좋아서 하는 일

Labourite 〔l´eib∂r`ait〕 노동당원

landgirl 〔l´ændg`∂:rl〕 (제2차 대전 중의) 임시 여자 농장 노동

longshoreman 〔l´o:ŋ∫`o:rm∂n〕 부두 노동자, 근해 어부

MacDonald 〔m∂kd´an∂ld〕 맥도널드 J.R.~(영국의 정치가, 노동당 당수, 수상)

manpower 〔-p`au∂r〕 (육체 노동에 의한) 인력 유효 총인원, 인적 자원

manual labour 손일, 근육 노동

May Day 오월제(5월1일 maypole춤을 춤), 노동절, 메이데이

Menshevik 〔m´en∫∂v`ik〕 멘셰비키(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온건파의 일원)

mine worker 광산 노동자, 광부

Mitbestimmung 〔m´tb∂∫t`imuŋ〕 (서독 등에서의 노동자의) 경영 참가(권)

N.L.R.B., NLRB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미)전국 노동관계위원회

N.U.M. National Union of Mineworkers(영)전국 광산 노동자 조합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미국의)전국 노동 관계 위원회

Nazi 〔n´a:tsi〕 나치당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나치당원, 나치, 나치주의(신봉)자, 나치(당의)

NLRA National Libor Relations Act(미)전국 노동 관계법

nocover action 〔-k´∧v∂r-〕 노동쟁의 중인 조합원 몫의 일을 하지 않음

nonmarket 〔n´anm´a∂rkit,n´onm´a:-〕 노동시장에 포함되지 않은

nonunionism 〔n´anj´u:nj∂n´izm,n´on-〕 노동조합 불가입, 반노동조합(이론, 행동, 주의)

nonunion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는, 노동조합불가입자가 만든

organized 〔´o∂rg∂n`aizd〕 조직(편성)된, 계획된, 유기적인, 노동조합에 가입된

organize 〔´o:rg∂n`aiz〕 조직(편성)하다, 창립하다, 체계화하다, ~d labor 조합 가입 노동자, organizer 조직(편성)자, 발기인

overtime 정시 외 노동 시간, 잔업 시간, 초과 근무

parliamentary train 노동자 할인 열차

peon 〔p´i:∂n〕 날품팔이 노동자, 빚을갚기위해 노예로서 일하는사람

people's Palace 민중 궁전, 노동 회관

porkchopper 〔p´o∂rkt∫`ap∂r〕 일을 하지 않고 보수를 받는 노동조합 간부(정치가의부하)

preferential shop 노동 조합원 우대 공장, 노동 조합 특약 공장

protestant ethic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근면, 검약, 노동의 성과를 강조함)

rat 쥐, 변절자, 탈당자, 노동조합협정액보다 낮은 임금으로 일하는 직공, 파업 불가담 직공, 파업 파괴자(scab), 배신자, 비열한 인간, (머리를 땋을 때 덧넣는)다리, 스파이, 밀고자, 신입생(freshman), (개가)쥐를 잡다, 조합 협정액보다 낮은 임금으로 일하다, 동맹 파업

red-neck 〔r´edn`ek〕 (남부의 교양없는(가나한))백인 노동자, 카톨릭교도, RED-NECK ED

redundancy pay(payment) (과잉 노동자에게 지급되는)증액 퇴직 수당

remuda 〔rimj´u:d∂〕 (목장에서 노동자가 당일 사용할 말을 고르는)말떼

right-to-work law 노동권법(조합에 가입하지 않아도 직장을 유지할 수 있는)

right-to-work 노동권의(에 관한)

rouseabout 〔r´auz∂baut〕 (오스)(목양장등의)잡역부, 미숙련 노동

roustabout 〔r´aust∂baut〕 항만(부두)노동자, (유전 등의)미숙련 노동

scatteration 〔sk`æt∂rbr`ein〕 분산, (인구, 산업의)지방 분산, (예산, 노동력 등의)펴균적 배분

scissorbill 〔s´iz∂rb`il〕 제비 갈매기 무리, (미)주변머리 없는 사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미)계급 의식이 없는 노동

servile works 육체 노동

servileity works 육체 노동(일요일엔 안함)

shapeup 〔∫´eip´∧p〕 인부 뽑기(부두 노동자가 일을 맡기 위해 늘어선 반원형 정렬)

socialist 〔s´ou∫∂list〕 사회주의자, 사회당원, 노동당원, 사회주의의, 사회당의

straight time 규정 노동시간

suedehead 〔sw´eidh`ed〕 스웨이드헤드(머리가 조금 자란 skinhead), 단발족(머리를 바싹 깎은 노동 계급 출신의 깡패)

sweated 〔sw´etid〕 저임금 노동의, ~ goods 저임금 노동으로 만든 제품, ~ labor 저임금 노동

sweatshop 〔sw´et∫´ap/-o-〕 노동자 착취 공장

swink 〔swiŋk〕 땀 흘려 일하다, 노고, 노동

syndicalism 〔s´indik∂liz∂m〕 신디칼리즘(산업, 정치를 노동 조합의 지배하에 두려는)

taskwork 〔t´æskw´∂:rk〕 할당된 일, 강제 노동, 도급일

timer 〔t´aim∂r〕 시간 기록기;계시원(경기 등의), 기초 시계, 스톱워치, 시간제 노동자, (내연 기관의)점화 시기 조절 장치, 타임스위치, 타이머

timeworker 〔t´aimw`ε:rk∂r〕 시간급 노동

toiler 〔t´oil∂r〕 고생하는 사람, 임금 노동

trade agreement 노동(무역) 협정

trade(s) unionism 노동 조합 제도

trade(s) unionist 노동 조합원

transport House 노동당 본부

unionism 통일론자, 연합론자, 통일 당원(아일랜드 자치안에 반대한 보수당원, 또는 흔히 아일랜드 독립에 이르기까지의 보수당), 연방주의자(미국 남북전쟁 당시 남북의 분리에 반대한), 노동 조합원, 노동 조합주의자, 종교산의 통일 주의자(신교 각파의 통일을 주장하는)

unionization 〔j`u:nj∂niz´ei∫∂n〕 노동 조합화, 노동 조합 형성, 노조 가입

unionize 〔j´u:nj∂n´aiz〕 노동조합으로 조직하다, 노동조합에 가입시키다(가입하다)

unorganized 〔∧n´o:rg∂´aizd〕 조직돼있지않은, 무기의, 노동조합에가입하지않은

vertical union 산업별 노동조합

wage slave 노예 임금 노동자(악조건, 싸구려 임금으로 일하는 사람)

wageworking 〔weidзw`∂:rkiŋ〕 임금 노동(의)

wharfie 〔hw´o∂rfi〕 (오스)항만 노동

white-handed 〔hw´ait´h´ændid〕 손이 하얀, 노동하지 않은, 결백한

work force 노동 인구, 노동

working class 노동 계급

workingman 〔w´∂:rkiŋm`æn〕 노동

working 작용, 노동, 운전, 경영

workman 〔w´∂:rkm∂n〕 노동

workmen's compensation 노동자 재해 보상

workpeople 〔w´∂:rkp`i:pl〕 노동자들

workweek 〔w´∂:rkw`i:k〕 주당 노동시간

workwoman 〔w´∂:rkw`um∂n〕 여자 노동자, 여공

work 일하는, 노동의(를 위한)

AFL-CIO 미 노동총연맹 산업별회의

North Korean Workers' Party 북한 노동

labor dispute 노동분규, 노동쟁의

labor productivity 노동생산성

labor-intensive 노동집약적, 노동집약형

manpower 인력, 노동력, 인적자원

migrant workers 떠돌이 노동자, 외국노동

turnover 회전, 반전, 전환, 이직, 노동이동, 1기의 총매상고, 판매, 매출

workforce 노동력, 노동인구, 일꾼, 인력, 근무인원수

working-class 육체 노동자 계급의

AFL-CIO (=American Federation of Labor and Congress of Industrial Organizatuibs) 미국 노동 총연맹 산업별 회의

autoworker 자동차 제조 공장 노동

Bolshevik 볼셰비키 *무산계급에 의한 정권 획득을 주장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의 과격주의 다수파 일원을 가리킨다.

farmworker 농장 노동

Hoffa, Jimmy 지미 호퍼 *미국의 노동 운동 지도자. 공금 횡령과 배심원단을 매수했다는 혐의로 징역형을 받아 복역하다 1975년 출소했는데, 그 얼마 후 실종되었음.

labor 노동, 근로; 노동자 계급, 노동 조합

labor force 노동력, 노동 인구

migrant 1. 이주자, 계절 노동자 2. 이동성의

norm 전형, 표준, 기준; 기준 노동

overwork 과로, 과도한 노동

swing shift 야근 노동

white-collar 전문직의; 두뇌 노동의, 사무직의

workday 일하는 날; 하루의 노동시간

workforce 전노동 인구, 전종업원, 노동

working man 임금 노동

working-class 임금(육체) 노동자 계급의

peon 날품팔이 노동자,말 지키는 사람,투우사의 조수

Faith is the soul of religion, and works the body.
신앙은 종교의 혼이요 노동은 종교의 몸이다.

From labour health, from health contentment spring.
건강은 노동에서 생기고 만족은 건강에서 생긴다.

No bread eaten by man is so sweet as that earned by his own labor.
모름지기 사람이 먹는 빵 중에 스스로의 노동에 의해서 얻은 것보다
맛있는 것은 없다.

for the most part (=mostly) 대부분, 대개
The life of man in this world, for the most part, a life of work.
(이 세상에서 인간의 생활은, 대부분 노동의 생활이다.)

of course : 물론
His parents were only laboring people, and of course poor.
(그의 부모는 노동꾼에 불과했다, 물론 그래서 가난했다.)

We fear we have to ask you to have this credit extended to
June 15 because there have been labour disputes at the
manufacturer`s work, which have caused some delay in the
manufacture of your requirements.
당사는 6월 15일까지 신용자의 유효기한을 연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 이유는 제조업자측에 노동쟁의가 있어 주문의
생산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If you're late again, you'll be dismissed. 또 다시 지각하면 자넨 해고야. ; workers who have been unfairly dismissed 부당하게 해고당한 노동자들

Workers are paid for their labor. 노동자들은 그들이 한 노동의 대가로 보수를 받는다.

manual labor 육체 노동

skilled [unskilled] labor 숙련 [비숙련] 노동

The strikers were in a militant mood. 파업 노동자들은 호전적인 분위기에 젖어 있었다.

* 근무 시간
Usually, we work eight hours a day from nine to six.
보통 우리는 9시에서 6시까지 하루에 8시간 근무합니다.
Sometimes we work two or three hours' overtime.
때때로 두세 시간 정도 잔업을 합니다.
We can take a one-hour lunch break.
점심 시간은 1시간입니다.
We're working a six-day week.
우리는 1주에 6일 근무합니다.
We work a 44-hour week , in other words a six-day week.
우리는 1주에 44시간, 바꿔 말하자면 6일 근무합니다.
The union is demanding a 38 hour week.
조합은 주 38시간 노동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In the United States, the number of days lost from work due to the common
cold is far greater than that caused by the actions of labor unions.
미국에서 감기로 인해 직장을 결근하는(일을 못하는) 날들의 숫자가 노동조합의
행동 때문에 야기되는 그것(일을 못하는 날의 숫자) 보다 훨씬더 크다.

During the 1870's iron workers in Alabama proved they could
produce iron by burning iron ore with coke, other than with charcoal.
1870년대 동안에 알라바마의 철공 노동자들은 목탄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코우크를 이용해서 철광석을 태움으로써 철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The working conditions of railroad employees were so hazardous in the
early days that private insurance companies refused to insure the workers.
초창기에는 철도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이 너무 위험해서 사설 보험회사들이
노동자들을 보험에 가입시키기를 거부했다.

The cotton mills of a hundred years ago were hot, dusty, noisy,
dangerous places and the life of the millworkers was hard.
100 년 전의 목화공장은 덥고, 먼지가 많고, 시끄럽고, 위험한 장소이었다.
그리고 공장 노동자들의 생활은 힘들었다.

Today, modern textile mills can manufacture as many fabrics
in a few seconds as it once took workers weeks to produce by hand.
오늘날 현대 직물공장은, 과거에 노동자들이 (그것을) 수공으로 생산하는데 수
주일이 걸렸던 만큼의 많은 직물을 단지 몇 초만에 제조할 수 있다.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working conditions in factories.
미국에서 연방정부는 공장에서의 노동조건을 규정하는데 책임이 있다.

Enough is enough!: 더 이상 못 참겠다!
노동자들의 파업이나 학생들의 시위에서 주로 보임.

[比較] business, commerce, trade, industry
business는 제조업자·농업자 같은 생산자의 활동과 대조되는, 상인·은행가·재정가 따위의 활동을 가리킨다. 그러나 넓은 뜻에서는, 상인·은행가만이 아니고, 생산자·상품의 운송업자의 활동도 포함된다. 그들의 궁극 목적이 상품을 공급하는 데에 있고 자기의 부를 증가하는 데에 있기 때문이다.
There should be no conflict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Business is greatly depressed throughout the world.
commerce와 trade는 상품의 교환, 특히 대규모의 거래와 상품의 운송이 포함되는 교환에 종사하는 사람의 활동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나라와 나라 사이, 주와 주 사이에서, 수송이 해로에 의해서 행해지며 거래가 상품만 아니라 금전·어음의 교환으로도 행해지는 경우에는 commerce가 많이 쓰이고, 같은 나라 안의 서로 다른 기업체 사이에서 행해지는 상품의 거래에는 trade가 많이 쓰인다.
laws regulating interstate commerce/ ships engaged in commerce with the West Indies/ A slump in the sale of automobiles has adversely affected the trade between the manufacturers and the steel companies.
industry는 주로 생산에 종사하는 사람들, 특히 천연물의 가공·인공적 생산물의 제조·건물의 건축 따위, 노동과 자본의 문제가 일어날 만한 대규모의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을 말한다.
Automation is rapidly revolutionizing industry.
또한 좁은 뜻으로는 제조품에 따라 결정되는 산업의 분야에 관해서 쓰일 수 있다.
the steel industry/ the automobile industry

Aging : 노인문제위원회
Agriculture, Nutrition and Forestry : 농업·영양·임업위원회
Appropriations : 세출위원회
Armed Services : 군사위원회
Banking, Housing and Urban Affairs :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
Budget : 예산위원회
Children, Youth and Families : 어린이·청소년·가정문제위원회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 상업·과학·운수위원회
Education and Labor : 교육·노동위원회
Energy and Commerce : 에너지·상업위원회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
Environment and Public Works : 환경공공사업위원회
Finance : 재정위원회
Foreign Relations : 외교위원회
Governmental Affairs : 정부활동위원회
House Administration : 하원관리위원회
Hunger : 기아문제위원회
Intelligence : 정보위원회
Interior and Insular Affairs : 내무위원회
Joint Committee on Economics : 합동경제위원회
Joint Committee on Printing : 합동인쇄위원회
Joint Committee on Taxation : 합동세제위원회
Joint Committee on the Library : 합동도서위원회
Judiciary : 사법위원회
Labor and Human Resources : 노동위원회
Merchant Marine and Fisheries : 해운어업위원회
Narcotics Abuse and Control : 마약남용규제위원회
Permanent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 정보특별위원회
Post Office and Civil Service : 우정공무위원회
Public Works and Transportation : 공공사업운수위원회
Rules and Administration : 의사운영위원회
Rules : 의사운영위원회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위원회
Small Business : 중소기업위원회
Standards Official Conduct : 윤리위원회
Veterans' Affairs : 재향군인위원회
Ways and Means : 세입위원회
standing committee : 상임위원회

내각의 부처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농림부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건설교통부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문화관광부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국방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교육부
The Ministry of Environment: 환경부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재정경제부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외교 통상부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행정자치부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부
The Ministry of Justice: 법무부
The Ministry of Labor: 노동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부
The Ministry of Unification: 통일부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산업 자원부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The Ministry of Budget and Planning: 기획 예산처
Central Personnel Management Commission: 중앙인사위
Public Information Office: 국정홍보처

sweatshop: (저임금으로 노동자를 장시간 혹사하는) 착취 공장

industrial structure - 산업구조
primary industry - 일차산업
secondary industry - 이차산업
tertiary industry - 삼차산업
key[basic] industry - 기간산업
strategic industry - 전략산업
capital-intensive industry - 자본집약산업
labor-intensive, knowledge-intensive,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 노동 집약형, 지식 집약형, 기술 집약형
industry catering to domestic needs; domestic demand-oriented industry
- 내수산업
export industry - 수출산업
declining[sunset] industry; industry of the past - 사양산업
consumer goods industry - 소비재산업
housing industry - 주택산업
information industry[business] - 정보산업
merchandising; distribution industry - 유통산업
leisure industry - 레저 산업
plant[capital] investment -설비투자
research and development; R & D - 연구개발
defective product - 결함 상품
rejected product; (factory) reject - 불합격품
industry which produces on orders - 수주산업
tourist industry - 관광업
shipbuilding industry - 조선업
shipbuilding tonnage - 선박건조량
shipyard; building dock - 조선소
launching - 진수
cruise test; test cruise - 시운전

TV manufacturing industry is labor-intensive.
(텔레비전 제작은 노동집약 산업이다.)

The Labor Party has lost a lot of support among the working class.
노동당은 노동 계층의 지지를 많이 상실했다.

Its sailors, fishermen, and farmers are Danes, but Swedes were
formerly imported as laborers on the larger farms.
그곳의 선원, 어부, 농장주들은 덴마크인들이지만 과거에 스웨덴인들이
넓은 농장에 노동자로 들어왔다.

Pelle is the son of one such laborer, Lasse Karlsson,
who comes to Bornholm in 1877.
펠레는 그런 노동자인, 라세 칼손의 아들인데, 라세는 1877년에 본호름으로 온다.

Pelle, who has never even heard of a trade union, now joins the Shoemakers' Union,
노동조합에 대해 들어본 적조차 없었던 펠레는 이제 제화업자 조합에 가입한다
and finds an outlet for his talents for organization and public speaking.
그리고 조직과 대중연설의 재능을 발휘한다.

Rising rapidly to leadership in the movement, he meets an old veteran unionist,
the mason Stolpe, who has achieved something like middle-class
comfort and respectability.
노동운동 지도자로 급성장한 그는 늙고 노련한 노동 조합주의자,
벽돌공 스토프를 만나는데, 그는 중산층의 안락과 품위를 성취했다.

Next, he organizes a National Federation of trade unions
and establishes contacts with leaders in other countries.
다음에 그는 전국 노동조합 연합을 결성하고 다른 나라의 지도자들과 관계를 맺는다.

He is temporarily deflected from this career when the management
of his shop offers him a post as a draftsman.
공장의 관리층에서 그에게 제도공 자리를 주자 그는 잠시 노동조합 운동에서 이탈한다.

The workers are at a disadvantage,
근로자들은 불리한 입장에 있다,
for their resources have been depleted by a bitter winter,
혹독한 겨울로 그들의 자원이 고갈되었고
and the employers take the opportunity to crush the whole movement
with one blow by declaring a general lockout covering all factories in the city.
고용주들은 도시에 모든 공장을 포함하는 전면적 폐쇄를 선언하여
일격에 모든 노동운동을 분쇄하려하기 때문이다.

The unions finally win when the municipal garbage collectors
join the strike and public opinion forces the manufacturers to capitulate.
시의 쓰레기 수거자들이 파업에 참여하고 여론이 제조업자들에게 굴복을 강요하자
노동조합은 마침내 이긴다.

The unions stage a great victory parade and lead their forces
to the very gates of the royal palace.
노동조합은 대대적인 승리의 행진을 벌리고 왕궁 입구까지 행동세력을 끌고 간다.
Pelle, now without a home, seeks out his old friend from the Ark,
Marie, and spends one night with her.
가정이 없는 펠레는 아크에 살던 옛 친구, 마리를 찾아가 그녀와 하룻밤을 지낸다.

The unions have emerged into the full stream of the national life,
but the prison doors shut on their leader.
노동조합은 국가적 활동의 큰 흐름으로 바뀌었지만, 형무소는 그들 지도자를 가둔다.

Pelle's old associates in the unions have largely forgotten him,
however, and the movement itself has changed.
그러나 노동조합의 옛 동료들은 대개 펠레를 잊었고, 조합운동 자체도 변했다.

Some of the more articulate of these have lost patience
with unionism and become anarchists.
이들 중 표현력이 강한 사람들은 노동 조합주의에 실망하여 무정부주의자가 된다.

And 17 years later I did go to college.
17년후, 저는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But I naively chose a college that was almost as expensive as Stanford,
그러나 저는 멍청하게도 바로 이 곳, 스탠포드의 학비와 맞먹는 값비싼 학교를 선택했습니다.
and all of my working-class parents' savings were being spent on my college tuition.
평범한 노동자였던 부모님이 힘들게 모아뒀던 돈이 모두 제 학비로 들어갔습니다.

Preparations for `Blue Round' : '블루 라운드'에 대비하라
Government labor affairs officials, who had a busy spring trying to
help settle disputes at large companies, especially those at state-run
corporations, now face the even harder task of preparing for the ``Blue
Round'' being push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대기업, 특히 국영기업체의 노사 분규 타결을 이끌어 내기 위해 분주한
봄철을 보냈던 노동 관련 부처의 공무원들은 이번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제
기하는 "블루 라운드"에 대비해야 하는 더 힘든 과제를 맞고 있다.

The industrially advanced nations have sought to establish a link
between commodities trade and labor conditions in producer countries,
proposing sanctions against nations which fail to guarantee the same
level of labor conditions as theirs. A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as determined Korea to be a
country with significant restrictions on labor rights, any
multilateral agreement on labor affairs will put this country at a
further disadvantage.
선진 산업국들은 상품 교역을 생산국의 근로조건과 연계시켜, 그들 선진
국의 근로조건과 같은 수준이 보장되지 않는 나라들에게는 제재를 가할 것
을 시도하고 있다. OECD는 한국을 노동권이 현저하게 제약받고 있는 나라
로 판정하고 있으므로, 근로조건에 관한 다자간 합의는 한국에게 더 큰 불
이익을 안겨 주게 될 것이다.
commodity : 일용품, 필수품, 상품
sanction : 재가, 인가, 제재, 상벌
significant : 긴요한, 결정적인, 두드러진, 획기적인, 현저한
restriction : 제한, 제약
multilateral : 다자간의, 다변적인

Korea has yet to ratify key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nventions regarding the basic rights of workers. The promoters of
the``Blue Round'' are drafting sanctions against countries where
guarantees of the rights to organize and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equal opportunity and a prohibition of forced labor and
child labor do not exist.
한국은 아직 근로자의 기본권에 관련된 주요 ILO규약을 비준하지 않고
있다. "블루 라운드"의 주창자들은 근로자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이 보장 안
돼는 나라, 균등한 고용 기회 보장이 안돼는 나라, 그리고 강제노동과 어린
노동이 금지가 보장되지 않는 나라에 대한 제재 방안을 강구하려 하고
있다.
ratify : 비준하다, 실증하다
convention : 집회, 정기총회, 연차 총회, 풍습, 협정, 약정
promoter : 발기인, 주창자, 주동자, 프로모터
draft : 처음으로 발기하다, 초안 잡다; 초안, 징병
collective : 집단적인, 집합적, 공동적
bargaining : 거래, 교섭, 계약
prohibition : 금지, 금제, 금령

In Korea, work is earnestly under way to elevate labor rights through
joint studies by the government, labor and enterprises. The government-
commissioned Labor-Management Relations Reform Committee has taken
up the questions of multiple representation in a single workplace,
third-party intervention and other traditionally knotty issues.
한국에서는 정부, 근로자, 및 기업의 공동 연구를 통해 노동자의 권리를
향상시키려는 작업이 진지하게 진행 중에 있다. 정부가 위임한 노사 관계
개혁 위원회가 단일 작업장에서의 복수 노조 대표 문제, 제3자 개입 허용
문제, 그리고 기타 전통적인 난제들을 다루어 오고 있다.
intervention : 개입, 관여, 간섭
knotty : 매듭이 있는, 해결이 어려운

There have been encouraging reports of some progress in the
negotiations to narrow gaps between the positions of labor and
employers. But we are not sure if the committee members, who include
representatives from academic and legal circles, are paying enough
attention to the international moves to link trade with labor conditions.
협상에서 근로자와 경영주의 입장 차이를 좁히는데 어느 정도의 진전이
보인다는 고무적인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학계와 법조계의 대표들
도 참여하고 있는 노사 관계 개혁 위원회가 무역과 노동 관계를 연계시키는
국제적인 움직임에 충분히 유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Korea, being a non-standing executive member of the ILO, has an
obligation to broaden its vision and increase its awareness of world
labor trends to avoid falling victim to advanced nations' attempts to pick
up on failings in trading competitors.
ILO의 비상임이사국이 된 한국은, 시야를 넓혀서 세계적인 노동 추세의
인식을 넓힘으로써 선진국들이 자신들의 경쟁 상대국들의 약점을 잡으려는
기도에서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ligation : 의무, 책임, 채권, 부담

However, Korean labor productivity was merely $20,274 last year. This
was 48 percent of the United States', 47 percent of Singapore's and 76
percent of Taiwan's. In addition, marginal productivity of capital
remains 60-70 percent of the levels seen in Japan and Taiwan.
그러나,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작년도에 겨우 20,274불이었다. 이것은 미국
의 48%, 싱가폴의 47%, 대만의 76%에 불과하다. 거기에 자본의 한계 생산
성은 일본이나 대만의 60-70%에 머물고 있다.
marginal : 가장자리의, 한계의, 약간의

There are a number of complex reasons for the savagery. First of all,
Korean fisheries firms are finding it necessary to hire inexpensive and
less well trained workers from foreign countries. Racial disharmony
among crew members easily develops into violent clashes resulting in
injuries and even fatalities.
이러한 만행에 대해 여러가지 복잡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한국의 수산회사들은 외국의 값싸고 덜 훈련된 노동자들을 고용하려들고 있
다는 것이다. 새로 들어온 선원들간의 인종갈등은 부상이나 심지어 목숨까
지 잃는 폭력충돌로 쉽게 번지게 된다.
savagery : 야만, 미개, 만행, 흉포성
fatality : 불운, 참사, 치사

Statistics show that about 25,000 foreigners are now employed by
Korean shipping firms, an explosive increase over the less than 200 on
Korean vessels in 1993. This reliance on foreign labor is likely to
grow due to the increasing unwillingness of Korean workers to take on
so-called 3D (difficult, dirty and dangerous) jobs, despite the
government's ban on crews in which foreigners outnumber Koreans.
통계에 의하면, 한국 선박회사에 고용되어 있는 외국인은 모두 25,000명으
로, 1993년에 200명에 비하면 폭발적인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정부가 외국
인 선원의 수를 한국인의 수보다 초과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규정에도 불구
하고, 한국인들이 소위 3D업종(힘들고, 더럽고, 위험한)을 기피하고 있기 때
문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는 날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reliance : 의존, 의지
outnumber : ..보다 수가 많다, 수적으로 우세하다, 능가하다, 초과하다

If the economy sinks and the nation turns its back on labor union, it will be the
laborers who will suffer twofold.
경제가 가라앉고 국민이 외면해선 노동자들은 이중으로 고통 받을 것이다.

Labor feels that it carries most of the burden of restructuring because of
government complicity in failed companies, so these kinds of measures will go
part way to appeasing labor. This is one way to get the KCTU to comeback to
the Tripartite Committe.
이것이 노동계의 이른바 '고통전담' 불만을 누그러뜨리고 민주노총 등을
노사정위로 복귀시키는 지름길도 될 것이다.

Labor's side is demanding the end of one-sided layoffs and restructuring. If this
is not done, it threatens to withdraw completely from the committee.
The government, however, is busy seducing labor with concessions while
management in the business sector is warning the government not to promise
anything that companies can not fulfill.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일방적인 구조조정과 정리해고 철회 등을 요구하며
이번주중 각기 노사정위 탈퇴를 공언하고 있고, 정부는 이를 막기 위한 노동
달래기에만 안간힘을 쏟고 있다.
사용자측인 재계 또한 노사문제에 정치권이 개입하지 말 것을 주문하며 대응책
마련에 부산하다.

March is traditionally the month when new contracts and salaries are
negotiated. This year is expected to be a fierce struggle, especially after the
massive wage cuts incurred by workers last year.
3월의 본격적인 임금협상을 앞두고 그러잖아도 불안이 많은 터에 노동계가 강경
투쟁으로 나선다면 우리 모두가 희생을 감내하며 일궈온 경제회복은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 " non color "→직역 :무색 세대라는 말로 기름도 서류도 만지지않고
컴퓨터에 매달려 일하는 요즘의 "컴퓨터 세대"를 말합
니다.
. bule collar - " 육체 근로 노동자 " 몸으로 일하는 사람.
. white collar - " 사무직 계급의, 샐러리맨의. "
※ bule collar ⇒ white collar ⇒ non color 로 변천한 것이라는데...

* Mayday가 무슨 뜻인가?
=> 선박이나 항공기 사고에서 관제탑에 무선으로 보내는 구조
요청 조난 신호를 뜻한다고.
이는 불어 m'aider( = help me )에서 유래함.
ex) The plane sent out Mayday.비행기가 조난신호를 보냈다.
그리고, May Day는 노동절(Labor Day),또는 5월제를 뜻함.

미국의 임금제도
+- wages : 시간당 급료. 일반 사무직. 단순 노동직.
| 주급,격주,한달단위,일당
+- salary -전문.고급 기술.사무직 (의사,변호사등)-연봉도 포함

방송된 팝송중 Billy Joel의 Piano Man의 가사 소개가 장시간
계속되었죠.
우선 이곡으로 빌리 조엘은 무명을 씻은 대히트를 쳤죠.
1974년 동명 타이틀 앨범으로서 빌리의 자전적 앨범(그는 그당
시 칵테일 바의 피아니스트로 일했었다.)
곡 배경은 철강노동자들이 첨단방식의 도입으로 일자리를 잃어
대거 실직하자 그중 한 노동자가 술집 피아노맨으로 취직해 그
의 눈에 비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노래한거죠.
소개된 가사
It's nine o'clock on a Saturday.
토요일 9시입니다.
The regular crowd shuffles in.
사람들은 하나둘씩 모여들고
There's an old man sitting next to me.
한 노인이 내꼍에 앉아있네.
Makin' love to his tonic and gin.
그는 진토닉을 홀짝홀짝 마시면서.
He says,"Son,can you play me a memory?
그는 말하길, 이보게 내게 추억의 노래를 들려주겠나?
I'm not really sure how it goe 젖어 있네.
And you've got us feelin' allright.
당신은 우릴 멋진 기분으로 이끌고 있군요.

》.cracker → (미 남부)백인 빈민 /도시출신이 시골(특히 미국 남부)
출신을 비웃으면서 부르는 말. 반대로 시골출신이 도시
출신을 〃 〃 〃 말은 city slicker 라고 합니다.
.redneck → (=rustic) (남부의 가난한) 백인 노동자,시골 주민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기주장이 강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hillbilly →산간 지대에서 교육받지 못한 사람을 말합니다.

* 교향곡의 몇번 몇악장은 영어로 어떻게 하는가? Op.는 무엇?
-> 하이든이나 베토벤의 작품을 보면 'Op.39'와 같은 표기를 볼
수 있다. 여기서 'Op.'는 'opus'의 생략형이다.
opus의 어원 : 라틴어로서 "일, 노동"(work)을 뜻한다.
물론 작품번호를 매길 때 일률적으로 'Op.'를 쓰는 건 아니다
K.: Mozart의 작품일련번호. Kochel이란 사람이 모짜르트의
작품을 정리한데서 머리글자를 따옴.
* Movement : 악장
Ex) Beethoven's piano sonata Op.53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번호 53

A rail strike could idle up to 630,000 workers, halt commuter
service and sidetrack as much as 30% of all military traffic.
(어구) idle - 빈둥거리며(놀며) 지내다, 낭비하다. sidetrack - 연기
시키다, 물살하다. 원래는 열차를 측선에 대피
시킨다는 뜻로 여기서는 철도파업이 군수송력을 지연시키는 것이니 더
욱 분위기에 맞는 단어이다.
(번역) 철도파업이 벌어진다면 무려 63만명의 노동자들이 일없이 놀
게 되고, 통근열차가 운행을 중지하게 되고 전체 군수송량의 30%가 발
을 묶이게 될 것이다.

While her opponent, former state Representative J.C. Whitefield,
resorted to plaintive racist appeals ("Can a white man win?"),
Mihome the need for such reforms as state
minimum wage provisions, industrial-accident laws and lower
insurance rates.
(어구) 윗 문장은 선거유세에 관한 것이다. 선거유세를 하자면 북을
두드려서라도 청중을 모야야 하므로 단순한 drive home보다는 drum
home이 훨씬 분위기에 맞는 표현이다. industrial-accident -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the course of employment(고용중 발생하는
사고, 노동재해).
(번역) 그녀의 경쟁자인 전 주(州)하원의원 화이트씨는 '백인이 승리
할 수 있을까?'라는 애수 어린 인종적인 호소를 (선거구호로) 들고 나
왔지만, 죠단은 주(州) 최저임금규정, 노동재해법 및 자동차 보험료 인
하 등과 같은 개혁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expend A on B A(시간, 노동 등)를 B에 쓰다
Four-fifths of the perjury in the world is expended on tombstones,
women, and competitors. - Dewar
이 세상의 위증의 5분의 4는 묘석, 여자 및 경쟁상대에 쓰인다.

love at first sight 첫눈에 사랑에 빠지는 것
Adam invented love at first sight, one of the greatest labor-saving
machines the world ever saw. - Wilde
아담은 첫눈에 반하는 사랑을 발명했는데 이것은 일찌기 없었던 위대한
노동절약 기계의 하나이다.

Q : Doorknocker syndrome이 자신의 사회적 신분이
중류층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형상이라는데
왜 그런가요?
A : 신드롬에는 두 가지 현상이 있습니다.
병리학적인 신드롬과 사회학적인 신드롬이 그것인데요.
스스로를 중류층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아 지는 사회적
현상을 Doorknocker syndrome, 우리 말로 하면 '중류의식 증후군'
이라고 합니다.
Doorknocker는 문에 달린 쇠장식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인데요.
방문객의 내방을 알리는 용도로 쓰이는 이 쇠장식이 달린
집에 살려면 어느 정도 경제 능력이 있어야 되겠죠.
그런 이유로 영국에서는 Doorknocker이 붙어있는 집에
산다는 것이 중류계층의 상징으로 여겨왔습니다.
풍요의 시대라는 요즘에는 노동계층에서도 이 Doorknocker이
달린 집에 사는 사람들이 많아 졌구요.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사회 풍조가 두드러지게 되었죠.
아뭏든 Doorknocker Syndrome이란 말은 중류층을 문에 다는
쇠장식에 비유한 재미있는 신조어입니다.

* 미국의 행정부
입법,사법,행정의 3권분립. 대통령밑에 14개의 행정부
Department of State ---------------------------- 국무부
Department of Treasury ------------------------- 재무부
Department of Defense -------------------------- 국방부
Department of Justice -------------------------- 법무부
Department of the Interior --------------------- 내무부
Department of Agriculture ---------------------- 농무부
Department of Commerce ------------------------- 상무부
Department of Labor ---------------------------- 노동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 ----------- 보건후생부
Departmen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 주택도시개발부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운수부
Department of Energe --------------------------- 에너지부
Department of Education ------------------------ 교육부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 재향군인부
법무부장관(Attorney General)만 빼고 모든 장관은 Secretary.
장관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에서 인준을 받아 14명의 장관이 내각을
이룬다.

drudgery 힘드는 육체 노동 (menial work)
Cinderella's fairy godmother rescued her from a life of drudgery.

But won't it cost you a lot? I mean the labor and all that, you know.
그렇지만 그렇게 하면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까요? 노동비 같은 것 말입니다.

Mr. Brown, I'm afraid I've got some bad news for you.
브라운씨, 안 좋은 소식이 있는데요.
Oh-oh. Break it to me gently.
오, 그래요. 저한테 한번 말씀해 보세요.

We've got labor-management troubles, and the way it looks to me, labor's going to win.
노사간에 문제가 생겼는데, 제 생각에 노동자측이 이길 것 같습니다.

Gone are the days of cheap labor.
값싼 노동력의 시절은 지나가 버렸군요.

We haven't been able to computerize ourselves very much. However, because of Korea's high population density, we can use a lot of labor at relatively low costs.
저희 공장은 아직 완전자동화가 안 됐지만, 저희 나라의 높은 인구밀도 덕택으로 노동력을 꽤 싸게 얻을 수 있거든요.

They say that in Korea many companies are not able to work properly because they are having labor disputes.
한국에서는 많은 회사들이 노동쟁의를 하느라고 일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면서요?

When going "chav-spotting" in London, you don't have to wait long for a sighting.
런던에서 차브족을 찾아 나서 그들을 발견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There's one in the checked baseball cap with a mobile phone, of course.
여기 누가 체크 무늬 야구모자를 쓰고 있는데요. 당연히 휴대폰도 가지고 있지요.
And this may be the ultimate male chav, jewelry, baseball cap and hood.
그리고 여기 액세서리에 야구모자, 후드티셔츠까지 갖춘 이 사람은 남성 차브의 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chav-spotting 차브 발견하기
* chav 차브: 런던 교외 지역의 노동자 계층의 청소년을 지칭하는 말로 금 장신구, 하얀 운동화, 버버리 체크 무늬 야구모자와 같은 패션을 선호한다.
* sighting 관찰, 목격; 볼만한 것
* checked 체크 무늬의
* ultimate ((구어)) 탁월한; 궁극의, 최고의

A lot of young people, particularly young urban working class kids and youth, are very into branded fashion.
수많은 젊은이들, 특히 도시에 사는 노동자 계층의 청소년과 젊은이들은 지금 유명 브랜드 패션에 흠뻑 빠져있습니다.
These goods are not cheap, by and large.
대체로 이러한 패션 제품은 싸지 않기 때문에
It's a way of flaunting your wealth.
부를 과시하는 수단이 되죠.
* branded 유명 상표의, 혹은 그 상표가 들어간
* by and large 전반적으로, 대체로
* flaunt 과시하다, ...을 자랑삼아 보이다
ex. He's got a lot of money but he doesn't flaunt it.(그는 많은 돈을 가지고 있지만 과시하지 않는다.)

Cinderella's fairy godmother rescued her from a life of drudgery.
신데렐라의 대모가 된 요정은 신데렐라를 힘든 노동에서 건져 주었다.

The outlook for unskilled laborers is not bright, as their jobs are gradually being taken over by machines.
미 숙련 노동자들은 그들의 일을 점차적으로 기계가 빼앗아가기 때문에 그 전망이 밝지 않다.

We shall oppose any changes in the labor code that appear inimical to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노동자들의 건강에 해로와 보이는 노동법규의 어떤 개정도 우리는 반대할 것이다.

Factory owners must be careful in choosing locations for factories.
Owners must ask themselves whether it is more important to be nearer the sources of the raw material
or be closer to the users of the factory products.
Transportation must be convenient.
There must be plenty of workers close by.
The cost of land and tax rates are other considerations.
공장 소유주들은 공장을 위치를 선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유주들은 원료의 공급지에 공장이 가까이 있어야 하는지
아니면 공장의 생산품의 소비자들에게 가까이 있어야 하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보아야 한다.
운송 또한 편리하여야 한다.
근처에는 노동력도 풍부해야 한다.
땅값 그리고 세율 등도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The pyramids and other tombs were built on the west bank of the Nile River.
The Egyptians chose the west bank as the “land of the dead” because that was where the dying sun disappeared each evening.
The building of the pyramids was generally started during the dry season of May and June.
The crops of the year before had been harvested.
The farmers had no work to do in the fields.
The farmers became pyramid builders.
They were paid for their labor in food and clothing.
피라미드와 다른 무덤들은 나일 강의 서안(西岸)에 지어졌다.
이집트인들은 이 서안을 “사자(死者)의 땅”이라고 불렀는데, 그것은 매일 저녁 석양이 지는 곳이기 때문이다.
피라미드의 건설은 5월과 6월의 건기에 보통 시작되었다.
이전 해의 농작물들은 이미 다 수확을 마쳤기 때문에 , 농부들은 들판에서 할일이 없었다.
농부들은 피라미드 건설 인부가 되었다.
그들에게는 식량과 의복이 노동의 대가로 제공되었다.

The combine relieved farmers of much of the burden of harvest.
It enabled farmers to rescue crops which otherwise might have been lost.
The combine was first developed for use in countries where the climate was suitable for grain production.
It was said that the climate in such countries as the British Isles was totally unsuitable for its use.
However, this was not true.
Combines work in quite damp conditions.
The use of a combine resulted in a big reduction in the time and labor required to harvest a given crop
because only one or, at the most, two men were needed to operate the machine.
Other labor required to transport the grain to storage was not excessive.
콤바인(복식 수확기, 농기계의 일종)은 농부들의 수확의 수고를 크게 덜어 주었다.
콤바인은 농부들이 그것이 없었다면 잃을 수도 있었던 수확을 가능케 하였다.
콤바인은 곡물 생산에 적당한 기후의 나라에서 사용될 용도로 먼저 개발되었다.
영국 같은 나라의 날씨들에서는 전적으로 콤바인의 사용이 맞지 않다고 말해졌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콤바인은 매우 습기가 있는 작업 환경에서도 효과가 있다.
콤바인의 사용은 주어진 작물을 수확하는 데 요구되어지는 노동력과 시간을 크게 감소시켰다.
왜냐하면, 오직 한 명 기껏해야 두 명의 남자면 그 기계를 운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창고로 곡물을 운송하는데 요구되는 다른 노동력은 지나치게 많지는 않았다.

Convinced that education is their best hope for the future,
many Kenyan parents are willing to make great sacrifices to send their children to high school.
They quickly discover, however, that there are not enough schools for everyone.
Even the high schools run by the government are too expensive for many families.
Kenyans have found an answer to the problem in harambee, a word that means self-help.
As part of the harambee movement, many villages built their own high schools.
Villagers organized fund-raising campaigns instead of expecting their government to help them.
Church groups donated some of the money.
Those who had no money to give donated their labor.
교육이 미래에 대한 최고의 희망이라는 점을 확신하기 때문에,
케냐의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을 고등학교에 보내기 위해 기꺼이 많은 희생을 치른다.
하지만 그들은 곧 모든 사람들을 위한 학교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심지어 정부에서 운영하는 고등학교조차도 많은 가족들에게는 학비가 너무 비싸다.
케냐 인들은 자조(自助)를 뜻하는 단어인 harambee에서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았다.
harambee 운동의 일환으로 많은 마을에서 자신들의 고등학교를 지었다.
마을 사람들은 정부가 그들을 도와주기를 기대하기보다는 기금 모금 운동 단체를 조직했다.
교회 단체에서도 약간의 돈을 기부했다.
기부할 돈이 없는 사람들은 노동력을 제공했다.

The happy also value pleasures that involve personal effort.
For Ken Rogers, happiness was a cottage on a small lake near Auburn, Indiana.
As a young factory worker, Rogers was determined to give his three children summers they would always remember.
So he cleared a plot of land, built a cottage, and tied a $1 rope to a willow tree for a swing.
Rogers did everything himself because at the time he was in poverty.
Now, when his grown children visit, it's his labors of love that they recall most fondly.
행복한 사람들은 또한 개인적인 노력이 담긴 즐거움을 소중하게 여긴다.
Ken Rogers에게 있어서, 행복은 Indiana주 Auburn 근처에 있는 작은 호숫가의 작은 집이었다.
젊은 공장노동자였던 Rogers는 그의 세 자녀들에게 언제까지나 기억에 남을 여름을 선사하겠다고 결심했다.
그래서 그는 조그마한 땅을 대지로 개간하여 작은 집을 짓고 버드나무에 1달러짜리 로프를 걸어 그네를 만들었다.
Rogers는 당시 경제적인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그 모든 일을 혼자서 해냈다.
요즘 성장한 그의 자녀들이 찾아올 때, 그들이 가장 다정하게 회상하는 것은 아버지가 보여준 사랑의 노동이다.

Canada is an exciting, innovative country where creative business thinking is applauded.
캐나다는 창의적인 사업구상이 박수갈채를 받는 흥미 있고 혁신적인 나라다.
Second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it stretches for almost 10 million square kilometers.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로서 거의 1,000만 평방 킬로미터로 뻗어있다.
Most of Canada's 23 million people live and work near the southern border.
캐나다의 2,300만 국민의 대부분은 남쪽 국경 근처에서 생계를 꾸리고 있다.
Small enterpris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life of our communities.
소규모의 기업은 우리의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 fact, there are about a million small businesses in the country.
사실, 캐나다에는 약 100만개의 소규모 기업이 있다.
These small businesses employ about 42 percent of Canadian workers,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service and trade sectors, and account for 30 percent of the business contribution to our Gross National Product.
이러한 소규모 기업들은 캐나다 노동자의 약 42%를 고용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업과 서비스, 무역 부문에서 우리 국민총생산의 3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Canada is a trading nation.
캐나다는 무역국이다.
Over a quarter of all goods produced in Canada are exported.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모든 물품의 1/4 이상이 수출된다.

Americans see much of life as a race for success.
미국인들은 인생의 상당한 부분을 성공을 위한 하나의 경주로 생각한다.
For them, equality means that everyone should have equal chance to enter the race and win.
그들에게 있어, 평등이란 모든 이가 이 경주에 참여해 이길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가져야만 한다는 것을 뜻한다.
In other words, equality of opportunity may be thought of as an ethical rule.
바꾸어 말하면 기회의 균등은 윤리적 규범으로 생각되어 질 수도 있다.
It helps ensure that the race for success is a fair one and that a person does not win just because he or she was born into a wealthy family.
그것은 성공을 위한 경주가 공정하며, 단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경주에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장해준다.
President Abraham Lincoln expressed this belief in the 1860s when he said, "We wish to allow the humblest man an equal chance to get rich with everybody else.
When one starts poor, as most do in the race of life, a free society is such that he knows he can better his condition: he knows that there is no fixed condition of labor for his whole life."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은 1860년대에 이렇게 말함으로써 이 신념을 표출했다.
"우리는 가장 비천한 사람에게도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부유하게 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를 바란다.
한 사람이 보잘것없이 시작할지라도, 인생의 경주에서 대부분이 그렇듯이, 자유로운 사회는 그가 그의 조건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그런 사회이다.
또한 그의 전생애에 고정된 노동 조건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사회다."

Difficult as it may be in some instances to ascertain quite accurately whether an overworked man had perfectly sound bodily health to begin with, the facts remain, that the excessive exercise of the mental powers is injurious to bodily health, and that all intellectual labour proceeds upon a physical basis.
우선 몇가지 경우를 가지고 과로한 사람이 완전히 정상적인 육체적 건강을 가지고 있는지 그렇지않은지를 확인하는 것이 힘들지라도 사실 과도한 정신력의 사용이 육체적 건강에 해로우며 모든 지적 노동이 육체에 토대를 두고 이루어 지고 있다.
No man can safely forget this and act as if he were a pure spirit, superior to physical consideration.
어떤 사람도 이것을 잊고 마치 육체적 요소보다 우위에 있는 순수한 정신을 가진 사람인 것처럼 행동할 수 없다.

Nearly all societies at nearly all times had a leisure class, a class of
persons who were exempt from toil.
거의 모든 사회에는 거의 모든 시대에 유한계층이 있었는데, 이 계층의
사람들은 힘든 노동으로부터 면제되었다.

That memory will die hard, if at all. Nor will the world forget the lessons in
courage displayed by the millions of Polish workers who were inspired by Lech
Walesa.
이러한 기억은, 설사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세상 사람들은 수많은 폴란드 노동자들이 레크 바웬사로부터 용기를 얻어 보여준
용기의 교훈들(용감한 행동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

In Japanese companies, as a general rule, managers rise from within
the corporate ranks, adding to the feeling of camaraderie and shared
experience.
일본의 기업체에서는, 일반적으로, 경영자는 일반 직원으로부터 올라가서
되는데, 이것이 노동자와 경영자는 동지며 동고동락한다는 생각을
증가해준다.

A central belief of the middle class in which I grew up was that the son
of a ditichdigger could become a college president, whereas the careless son of
the top family in town could easily make mistakes from which he would not
recover. These twin beliefs were not legendary;each year they were illustrated
by specific lives in our community, and are still being illustrated.
내가 자라난 중산층의 중심적인 믿음은 도랑을 파는 노동자의 아들은
대학 총장이 될 수 있는 반면에, 시내에서 제일 가는 가정의 부주의한 아들은
쉽게 실수를 저질러서 회복하지 못하리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두가지 믿음은
전설적인 것이 아니었다. 해마다 그러한 믿음은 우리 지역 사회의 특정한
사람들의 삶이 보여주었고, 지금도 보여주고 있다.

ditchdigger: 도량 파는 노동자.

A research study revealed that the white-collar worker was extremely concerned
about the impression his clothing made on his superiors. Although blue-collar
workers were less aware that they might be judged by their clothing, they recognized
that any deviation from the accepted pattern of dress would draw ridicule from their
fellow workers.
한 조사연구에 의하면 사무직 노동자는 자신의 옷이 상관들에게 주는
인상에 대해서 지극히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록 육체
노동자들이 자신의 옷에 의해 자신이 판단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대해서
사무직 노동자만큼은 의식하지 않았지만, 이들은 동료 노동자와 옷을 달리
입으면 그들로부터 비웃음을 받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How Saura Abdullaeva and the 30 million other Muslim Central Asians look at the
world is a subject that preoccupies the Kremlin these days. The basic reason: The
Central Asian Muslim population of the Soviet Union is growing give times as fast
as the country's ethnic Russian population. This means that ethnic Russians soon
will be a minority and there may be as many Central Asians as Russians entering
the labor force and the military.
싸우라 압둘리에봐아 3천만명의 그밖의 중앙 아시아의 회교인들이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문제는 요사이 크렘린 통치자들을 사로잡고 있는 문제다.
근본적인 이유는 이러하다. 소련의 중앙 아시아 회교도 인구가 소련의 러시아
인종의 인구의 다섯 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러시아
인종이 곧 소수가 될 것이고, 어쩌면 러시아 인종과 마찬가지 수효의 중앙
아시아인들이 노동계와 군대에 들어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Protectionism, inspired by the global recession and the 1979 oil crisis,
bit into foreign sales at just the time that other, less developed countries
like China and the Philippines began producing and exporting products of
their own at even lower labor costs.
보호무역정책이-이것의 원인은 세계적인 불황과 1979년의 석유위기였는데-양국의 수출을
감소시켰는데 이것은 바로 중공과 필리핀 같은 이들 보다 덜 개발되어있는 다른 나라들이
더욱 더 낮은 노동비용으로 자국의 생산품을 만들어서 수출하기 시작한 때였다.

Even so, poor economic management over the years has regularly
squandered these advantages, unleashing devastating bouts of inflation
as weak governments have sought to bolster their popularity by providing
easy credit and generous wages for worke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년간에 걸쳐서 경제관리를 잘못함으로써 정기적으로
이러한 잇점들을 낭비해 왔고 엄청난 피해를 가져오는 인플레이션기간을
발생시켜왔는데, 이것은 약한 정부들이 은행으로 부터 쉽게 돈을 빌릴 수
있게 하고 노동자들에게 많은 임금을 제공함으로써 자기들의 인기를
뒷받침해주려고 해왔기 때문이다.
The defeat in the Falklands could mean more of the same.
포클런드전쟁에서 패배하게 되면 이런 일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most workers returned to their jobs after the Gdansk accords promised
free unions and other political concessions, strikes broke out in scattered
areas last week.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그다니스크 협정이 자유노조와 기타 정치적인 양보를
약속해 주자 일터로 돌아갔으나, 지난 주에 파업이 여기저기서 산발적으로
발생했다.

So great is our passion for doing things for ourselves, that we are
becoming increasingly less dependent on specialized labor.
No one can plead ignorance of a subject any longer, for there are
countless do-it-yourself publications.
Armed with the right tools and materials, newly-weds gaily embark
on the task of decorating their own homes.
Men of all ages spend hours of their leisure time installing their own
fireplaces, laying out their own gardens; building garages and making
furniture.
Some really keen enthusiasts go so far as to build their own record
players and radio transmitters. Shops cater to the do-it-yourself
craze not only by running special advisory services for novices,
but by offering consumers bits and pieces which they can assemble
at home.
Such things provide an excellent outlet to pent-up creative energy, but
unfortunately not all of us are born handymen.
자신이 직접 만들어 보려는 열의가 커지면서 우리는 전문적인 노동에 덜
의존하고 있다.
직접 만드는 법에 관한 출판물이 아주 많기 때문에 어떤 분야에 무지하다는
핑계는 통하지 않는다.
적합한 도구와 재료를 가지고 신혼부부들은 즐겁게 집 꾸미는 일을 시작한다.
나이와는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여가 시간을 이용해 난방시설을 설치하거나,
정원을 꾸미거나, 차고를 짓거나 가구를 만든다.
아주 열성적인 사람들은 녹음기나 라디오를 제작하기까지 한다. 상점들은
직접 해보는 일에 열성적인 사람들을 위해 초보자를 위한 특별 서비스를
운영할 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집에서 조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품 세트를
판매한다.
그러한 것들은 창작 에너지의 훌륭한 배출구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선천적으로 손재주가 없는 사람들도 있다.

The uncertain economic conditions of recent years have caused union and
management representatives to explore many ways of handling labor problems.
Workers have always wanted to share in the profits when the company has
good times.
Now management representatives are saying, "Fine. We'll share the profits
with you―if you'll share the losses with us."
Workers are having to decide whether they are willing to take the chance
of salary and benefit cuts in bad times. They are having to decide whether
job security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benefits.
In effect, they are having to decide whether they are willing and able to
pay the cost of sharing.
지난 여러 해 동안 경제 사정이 불투명했기 때문에 노사 대표들은 노동 문제를
해결하려는 많은 방법들을 모색해 왔다. 근로자들은 회사가 호황을 맞았을 때
이익을 나누어 받기를 원했다.
사용자 측 대표들은 이렇게 말한다. "좋습니다. 이익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손실을 우리와 함께 나눈다면."
근로자들은 경기가 나빴을 때 급료와 혜택이 삭감되는 위험 부담을 감수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들은 안정된 직장이 다른 혜택들보다 중요한 지를
결정해야 한다.
실제로 그들은 손익을 기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지를 결정해야 한다.

*work force 노동자들 the people who work in a factory or in industry generally, considered as a group:
노동자들이 파업 중이다.
The whole work force is/are out on strike.

Everybody in the world is seeking happiness―and there is one sure way
to find it. That is by controlling your thoughts. Happiness doesn't
depend on outer conditions. It depends on inner conditions.
It isn't what you have or what you are or where you are or what you are
doing that makes you happy or unhappy. It is what you think about it.
For example, two people may be in the same place, doing the same thing;
both may have about an equal amount of money and prestige―and yet one
may be miserable and the other happy. Why? Because of a different mental
attitude. I saw just as many happy faces among the Chinese coolies
sweating and toiling in the devastating heat of China for seven cents
a day as I see on Park Avenue.
"Nothing is good or bad," said Shakespeare, "but thinking makes it so."
Abe Lincoln once remarked, "Most folks are about as happy as they make
up their minds to be."
이 세상 모든 사람이 행복을 찾고 있는데 그것을 확실히 찾는 길은 하나뿐이다.
그것은 생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행복은 외부적인 조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내적인 조건에 달려있다.
당신이 무엇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사람이며,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당신을 행복하거나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문제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일을
하고 있다고 하자. 가지고 있는 돈과 특권이 거의 같지만 한 사람은 비참하고
다른 한 사람은 행복할 수 있다. 왜 그럴까? 마음가짐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당 7센트를 받고 지독한 더위 속에서 땀을 흘리며 고된 일을 하고 있는
중국인 노동자들 사이에서 파크 아벤뉴에서 만큼 행복한 얼굴들을 보았다.
"좋고 나쁜 것이 따로 없다. 생각이 그렇게 만들 뿐이다."라고 섹스피어가 말했다.
에이브라함 링컨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사람은 마음먹는 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

*toil 고된 노동 hard or continuous work:
여러 해 동안의 고된 노동 끝에
after the toil of many years

At the depth of the depression, in 1993, one American worker in every four
was out of a job, while unemployment ranged between 15 percent and 25 percent
of the labor force in other countries.
극도의 경기 침체기였던 1933년에는 미국 노동자 네 명 중 한 명이 직장을 잃은
한편, 다른 나라에서는 실업률이 15%에서 25%에 달했다.

Working around high-speed machine tools presents certain dangers, and workers must follow safety precautions.
빠른 속도의 기계 주변에서 일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가지며, 노동자들은 안전 예방조치를 반드시 따라야만 합니다.

Although vehicle prices are usually revised in September and March
to absorb increased production and labor costs, we have decided to
keep all models at the current prices until March, 19….
일반적으로 차량가격은 생산비 및 노동비의 증가에 따라 9월과 3월에
개정합니다만, 19 - - 년 3월까지는 모든 모델에 대해 현행가격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to absorb increased costs [비용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I have just read of your appointment as Minister of Commerce after
the general election. I would like to extend my warmest congratulations
to you on this auspicious occasion as well as to your Labor Party on
your victory in the election.
총선거 후 상무장관으로 임명되셨다는 것을 방금 읽었습니다. 이 경사스러운
일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선거에서 노동당이 승리한 것도 아울러 축하드립니다.
Your appointment as~ [~에 임명된 것]
I would like to extend my warmest congratulations to you on [~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공식적인 축하문구.
this auspicious occasion [이런 경사스런 일] auspicious는 '경사스러운'의
뜻으로, 격식을 차린 말.

효율적인 기계가 육체 노동을 대신하게 되었다.
Efficient machinery replaced manual labor.

저 공장의 노동자들이 일시에 해고를 당하려고 한다.
Blue-collar workers are facing layoffs in that industry.

인간의 행복은 생활에 있고, 생활은 노동에 있다.
The happiness of man consists in life, and life is in labor.

Money is merely a convenient medium of exchange - nothing more and
nothing less. Before its invention, mankind used the barter system of
trading objects for other objects or services. One pig might have been
worth five chickens in trade ; a week's labor might have yielded one
goat, and so on. Can you imagine the problems of carrying around enough
livestock or grain to do one's weekly shopping? The barter system worked
well until people started to move about more and to greater distances.
돈은 단지 편리한 교환매체이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돈의
발명이전에, 인류는 어떤 물건을 다른 물건이나 용역과 교환하는 물물교환을
사용하였다. 교환에 있어 돼지 한 마리는 닭 5마리의 가치가 있었을 테고,
일주일의 노동은 염소 한 마리를 낳았을 것이다. 기타등등. 매주 쇼핑을 위해
가축이나 곡식을 가지고 다니는 문제를 상상할 수 있겠는가? 물물교환제도는
사람들이 더 많이, 더 멀리 돌아다니기 시작할 때까지는 효과가 있었다.

[위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Nazi Party

[위키] 오스트레일리아 노동 Australian Labor Party

[위키] 뉴질랜드 노동 New Zealand Labour Party

[위키] 국제 노동 기구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위키] 쿠르디스탄 노동자당 Kurdistan Workers' Party

[위키] 아동 노동 Child labour

[위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Workers of the world, unite!

[위키] 무자유 노동 Unfree labour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283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