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사춘기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hebetic 〔hib´etik〕 (Gk 젊은의 뜻에서, 사춘기의, 사춘기에 일어나는

preadolescence 〔pr`i:∂dæl´esnt〕 사춘기이전

prepuberty 〔pr`i:pj´u:b∂rti〕 사춘기 전의 시기

prepubescence 〔pr`i:pju:b´esns〕 사춘기 전의 시기

prepube 〔pr`i:pj´ub〕 사춘기 전의 사람

preteenager 〔pr´i:t´i:n`eidз∂r〕 사춘기 직전의 아동

preteen 〔pri:t´i:n〕 십대에 거의 이르는 아이, 사춘기 직전의 아이

puberty 〔pj´ub∂rti〕 사춘기(남자 14세, 여자 12세경), 묘령

pubescence 〔pj´u:b´esns〕 사춘기에 이름, 연모로 덮여 있음(있는 상태). pubescent a.

pubescent 〔pju:b´esnt〕 사춘기에 이른, 연모로 뒤덮임

puppy fat (유아기, 사춘기의 일시적) 비만

adolescence 청년기, 사춘기

내 동생은 지금 사춘기이다.
My brother is in puberty.

preteen: 사춘기 직전의 아동 (10-12세)

Nat tries to laugh it off as the excesses of a romantic adolescent,
나트는 낭만적인 사춘기 소년의 과한 행동으로 웃어넘기려 한다
but McComber cannot be placated.
그러나 묵캄보씨는 쉽게 수그러들지 않는다.

doggy paddle에서 paddle은 노를 젓는 것이죠.
개가 노를 젓는 것이니까 개헤엄을 말합니다.
He follows her around like a little puppy-dog.
그는 그녀를 강아지처럼 쫓아다닌다.
puppy fat이라고 하면 주로 영국이나 호주에서 쓰는 표현으로
젖살 즉 유아기, 사춘기의 일시적 비만을 말합니다.
강아지 시절에는 있다가 크면 없어지는 것이니까
미국에서는 baby fat이라고 하죠.
puppy love라고 하면 강아지 시절 사랑이니까 풋사랑

▶ 미국 청소년들의 사춘기에 대해서
미국 청소년들도 우리 한국 청소년처럼 사춘기가 있는데 이것을
puberty 또는 adolescence 라고 합니다.
약 13에서 18세까지의 나이사이로 teenager라고도 합니다.
주로 대부분 사춘기 청소년들은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이에 속합
니다. 이 시기는 정신적, 신체적 성숙이 활발한 시기로 성인이
되기 위한 과도기로 생각됩니다.

From ages six to eleven, says Hamburg, "school is a crucible and a defining experience that will heavily influence children's adolescence and beyond.
햄버그 박사의 말에 의하면, "6세부터 11세까지의 아동들에게 있어서 학교라는 곳은 그들의 사춘기와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혹하고도 결정적인 시련의 시기이다.
A child's sense of self-worth depends substantially on his or her ability to achieve in school.
A child who fails in school sets in motion the self-defeating attitudes that can dim prospects for an entire lifespan."
아이들의 자아 가치감은 학교에서의 성취 능력에 의해 대부분 결정되기 때문에 학교에서 실패한 학생은 자기 패배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어 향후의 삶 전체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게 된다."
Among the essentials for profiting from school, Hamburg notes, are an ability "to postpone gratification, to be socially responsible in appropriate ways, to maintain control over their emotions, and to have an optimistic outlook"―in other words, emotional intelligence.
아울러 햄버그 박사는 학교에서 얻을 수 있는 핵심 사항으로서, 만족을 뒤로 미루는 것, 적절한 방식으로 사회적 책임을 지는 것, 자신의 감정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것, 낙관적인 관점을 가지는 것 등 한 마디로 감성지능을 지적하고 있다.

*adolescence 청년기; 사춘기 the period between being a child and being an
adult of about 13 - 16

Come on, let me show you where I went through puberty.
내가 사춘기 시절을 보냈던 곳을 보여주지
I can totally see you here at 16.
16세 때 모습이 떠오르는군
Got in some trouble on this bed, huh?
이 자리에서 사고 좀 쳤지?
Woke up the whole block.
이웃 사람들이 잠을 못 잤지

만 4세 이상부터 사춘기 전까지는 1년에 5∼6cm 정도 자라는 것이 정상이다.
It is normal to grow 5 - 6cm per year between the age of four and the start of puberty.

그래야 2차 성장기, 즉 사춘기에 성장 에너지를 더 마음껏 발산하고 키를 쑥쑥 키울 수 있다.
Only then can one work off more growth energy and grow taller during the secondary growth period, or adolescence.

특히 중1 흡연율에 비해 고3 흡연율이 12배 이상 높은 점을 볼 때, 사춘기 시기인 청소년기 흡연 예방 및 금연을 위한 획기적인 개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smoking rate of high school seniors is more than 12 times higher than the smoking rate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 groundbreak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prevent smoking and quit smoking in adolescence.

이런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를 뜻하는 2차 성징이 또래보다 2년가량 빠른 8세 이전 여아, 9세 이전 남아에게서 관찰되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다.
If the secondary sex, which means physical changes in adolescence, is observed in a pre-8-year-old girl and a pre-9-year-old boy, one can suspect precocious puberty.

이는 사춘기의 경구피임약 사용이 우울증 위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The researches explained this proves that the use of oral contraceptives during adolescence has a lasting effect on the risk of getting depression.

desquamative gingivitis (박리성 치은염, 탈락성 치은염) 초기에는 치은상피가 변성으로 벗
겨지며 2차적으로 염증성 변화가 오는 치은염으로 사춘기 이후의 연령층에서 남녀 모두 발
생되며, 주로 30세 이후의 여성에서 빈발한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무치악에서도 생길 수
있으며 순명이 설면보다 더 심한 증상을 보인다. 처음에는 치은에 벗겨진 홈이 생기며 진홍
색을 띠고 표면은 탄력성이 없어지고 평활하게 된다. 치은 표면이 벗겨지면 온도적 변화, 저
작 및 칫솔질과 같은 자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심해지면 수포가 생기며 상피가 벗겨져
불규칙한 양상을 띄게 되며 보호력의 저하로 인해 염증이 쉽게 유발되며 심한 동통을 느낀
다.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내분비선의 분비 이상이나 영양결핍으로 올 수 있다.

gingival hormonal enlargement (호르몬성 치은 비대) 임신이나 사춘기 동안의 호르몬의 불
균형과 관련된 치은의 비대.

pizza face는 '피자 얼굴'인데 얼굴이 피자처럼 생겼다고 하면 어
떤 것인지 연상이 되시겠지요? 사춘기 청소년들의 상징중의 하나가 바
로 여드름이지요. pizza face는 바로 여드름이 많이 나는 얼굴을 놀리
는 말로 여러가지 재료가 얹혀진 동그란 피자의 모습을 연상해 보면은
아실 것 입니다. 여드름이 심한 얼굴을 분화구와 같다고 해서 crater
face라고 하지만 이 말은 아주 심하게 상대방을 비하시키는 말이기 때
문에 사용을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드름은 acne, pimple 이라고 얘
기를 합니다.

E22 뇌하수체의 기능항진증(Hyperfunction of pituitary gland)
-
제외: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E24.-)
넬슨 증후군(Nelson's syndrome)(E24.1)
쿠싱 질환과 관련 없는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의 과잉생산(overproduction of ACTH not
associated with Cushing's disease)(E27.0)
뇌하수체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의 과잉생산(overproduction of pituitary ACTH)(E24.0)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과잉생산(overproduction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E05.8)
E22.0 말단거대증 및 뇌하수체 거인증(Acromegaly and pituitary gigantism)
말단거대증과 관련된 관절병증(Arthropathy associated with acromegaly+)(M14.5*)
성장호르몬의 과잉생산(Overproduction of growth hormone)
제외 : 체질성 거인증(constitutional gigantism)(E34.4)
체질성 장신(長身)(constitutional tall stature)(E34.4)
내분비 췌장의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 과다분비(increased secretion from endocrine
pancreas of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E16.8)
E22.1 고프로락틴혈증(Hyperprolactinaemia)
약물 유발성일 때 약물감별을 원한다면 추가로 외인분류번호(XX장)를 사용할 것
E22.2 항이뇨 호르몬 분비 이상 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secretion of antidiuretic hormone)
E22.8 기타 뇌하수체의 기능항진증(Other hyperfunction of pituitary gland)
중추성 사춘기 조숙(Central precocious puberty)
E22.9 상세불명의 뇌하수체기능항진증(Hyperfunction of pituitary gland, unspecified)

E30 달리 분류되지 않은 사춘기의 장애(Disorders of puberty, NEC)
-
E30.0 사춘기 지연(Delayed puberty)
사춘기의 체질성 지연(Constitutional delay of puberty)
성발육의 지연(Delayed sexual development)
E30.1 사춘기 조숙(Precocious puberty)
조숙 월경(Precocious menstruation)
제외 : 알브라이트(-맥쿤)(-스턴버그)증후군(Albright(-McCune)(-Sternberg)syndrome)(Q78.1)
중추성 사춘기 조숙(central precocious puberty)(E22.8)
선천성 부신 증식(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E25.0)
여성의 이성 조숙의 가성사춘기(female heterosexual precocious pseudopuberty)(E25.-)
남성의 동성 조숙의 가성사춘기(male isosexual precocious pseudopuberty)(E25.-)
E30.8 사춘기의 기타 장애(Other disorders of puberty)
조기 유방발육시발(Premature thelarche)
E30.9 상세불명의 사춘기 장애(Disorder of puberty, unspecified)

F50 섭식 장애(Eating disorders)
-
제외:식욕부진(anorexia) NOS(R63.0)
섭식 곤란과 관리 실수(feeding difficulties and mismanagement)(R63.3)
영아기와 소아기의 섭식 장애(feeding disorder of infancy or childhood)(F98.2)
대식증(polyphagia)(R63.2)
F50.0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
환자가 유도하고 유지되는 고의성 체중감소가 특징적인 장애이다. 이것은 주로 청년기의 소녀나
젊은 여자에서 발생하지만 청년기의 소년, 젊은 남자 또는 사춘기 소년 부터 폐경기의 여자에게까지
생길 수 있다. 이 장애는 특수한 정신병리학적인 면과 연관되어 지방분에 대한 걱정과 축 늘어진
체형에 대한 근심에 너무 압도되어 자신에 대한 몸무게의 역치를 너무 낮게 잡는데 있다. 다양한
정도의 영양부족에 의한 내분비, 대사 변화가 몸의 기능 수행에 지장을 가져온다. 증상은 제한된
메뉴의 선택, 과도한 운동, 구토와 변통의 유도, 식욕억제제와 이뇨제의 사용 등으로 나타난다.
제외:식욕상실(loss of appetite)(R63.0)
심인성 식욕소실(psychogenic loss of appetite)(F50.8)
F50.1 비정형성 신경성 식욕부진(Atypical anorexia nervosa)
임상양상 진단이 명확하지 않고 신경성 식욕부진의 몇몇 특징을 충족 시키는 장애. 예를 들면, 비만에
대한 현저한 근심 혹은 무월경과 같은 주요 증상중의 하나는 뚜렷한 체중의 상실 및 감소시키는
행동의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진단은 체중상실과 관련된 잘 알려진 신체적 장애의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
F50.2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
몸무게 조절에 대한 과도한 선입견과 반복적 과식발작이 특징인 일련의 증후군이며 과식과 구토의
양상을 보인다. 이 장애는 신체형태 및 체중을 포함해서 신경성 식욕부진 관련 생리적 특징을 공유한
다. 반복된 구토는 몸의 전해질 부족과 신체적 이상을 초래 한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이르는 발병전
신경성 대식증의 에피소드가 항상 있을 수는 없지만 주로 존재한다.
대식증(Bulimia) NOS
신경성 식욕 과다증(Hyperorexia nervosa)
F50.3 비정형성 신경성 대식증(Atypical bulimia nervosa)
임상양상의 진단이 명확하지 않고 신경성 대식증의 몇몇 특징을 충족시키는 장애. 예를 들면, 현저한
체중의 변화 없이 하제의 과용 및 과식의 재발성 발작이 있고 또는 신체의 형태 및 체중과의 전형적인
지나친 관련성이 결여 되어 있다.
F50.4 기타 심리학적 장애와 연관된 과식(Overeating associated with other psychological disturbances)
사별, 사고, 출산 등과 같은 근심거리에 의한 과식(Overeating due to stressful events, such as
bereavement, accident, childbirth, etc.)
심인성 과식(Psychogenic overeating)
제외:비만(obesity)(E66.-)
F50.5 기타 심리학적 장애와 연관된 구토증(Vomiting associated with other psychological disturbances)
해리장애(F44.-)와 심기증성 장애(F45.2)에서의 재발성 구토이며 이장 이외에서 분류된 조건에 의한
것도 포함된다. 임신중의 재발성 오심, 구토에서 정서적 요인이 우세할 때 O21.-(임신중 과구토)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심인성 구토(Psychogenic vomiting)
제외:오심(nausea)(R11)
구토증(vomiting) NOS(R11)
F50.8 기타 섭식장애(Other eating disorders)
성인에서의 이식(환자)증(Pica in adults)
심인성 식욕소실(Psychogenic loss of appetite)
제외:영아기와 소아기의 이식증(pica of infancy and childhood)(F98.3)
F50.9 상세불명의 섭식 장애(Eating disorder, unspecified)

F64 성 주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s)
-
F64.0 성전환증(Transsexualism)
자신이 반대의 성을 가지기를 원하고 그 일원으로 생활하기를 갈망하여 해부학적인 성을 불편하고
부적당하게 생각함. 환자는 그 신념에 일치하는 성을 가지기 위해 외과수술이나 호르몬 처치를
소망한다.
F64.1 이중역할 의상도착증(Dual-role transvestism)
일시적인 반대의 성으로 활동하는 것을 즐기기 위해 이성의 의상을 입으나 영구적인 성전환이나
외과적 처치를 갈망하지는 않고 이성의상을 입는것에 대한 성적인 쾌감은 없다. 성전환형이 아닌
청년기와 성인기의 성 주체성 장애.
제외:여성물건애적 의상도착증(衣裳到錯症)(fetishistic transvestism)(F65.1)
F64.2 소아기의 성 주체성 장애(Gen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
이른 소아기(주로 사춘기 이전)에 발현되며 자기 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강렬한 근심과 이성에 대한
갈망이나 주장을 특징으로 한다. 이성의 의상이나 활동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자신의 성에 거부감
을 갖는다. 이 진단은 정상 성 주체성의 심한 장애에만 쓰이고 단지 "말괄량이"에서처럼 소녀가
소년 같은 행동을 보이는 데는 쓰이지 않는다. 사춘기에 접어든 이후에는 성 주체성화 장애는 F66.-
에 분류된다.
제외:자기 소외성 성적 지남력(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F66.1)
성적 성숙 장애(sexual maturation disorder)(F66.0)
F64.8 기타 성 주체성 장애(Other gender identity disorders)
F64.9 상세불명의 성 주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unspecified)
남녀-역할 장애(Gender-role disorder) NOS

F65 성 도착증(Disorders of sexual preference)
-
성 도착증(Paraphilias)
F65.0 여성물건애(Fetishism)
무생물을 성적각성과 희열의 자극제로 믿음. 숭배물은 사람의 몸의 연장으로써 옷이나 신는 것 등의
조각이다. 다른 일반적 예는 특수한 고무, 플라스틱, 가죽등 직물로 특징지어진다. 숭배물은 개개인에
있어서의 중요성에 따라 다양하다. 어떤경우 숭배물은 일상적 방법으로 얻어지는 성적흥분을 고취시
키는데 쓰인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옷을 특별히 의상으로 가지는 것 등)
F65.1 여성물건애적 의상도착증(Fetishistic transvestism)
성적흥분을 얻기위해서나 이성으로 보여지기 위해 이성의 옷을 입는 행동. 성전환성 의상도착증과는
성적극치에 다다르거나 성적각성이 줄어 들면 옷을 벗어버리려는 강한 욕구와 성적 각성과의 연관성
에 의해 구별된다. 이것은 성전환증의 초기 발전시기에 일어날 수 있다.
의상도착성 여성물건애(Transvestic fetishism)
F65.2 노출증(Exhibitionism)
자신의 성기를 가까운 접촉을 시도하지는 않고 낮선 타인(주로 이성)이나 공공장소의 사람들에게
노출시키려는 지속적이고 재발적 경향. 반드시 그런것은 아니지만 노출시 성적흥분을 느끼며 자위행
위가 뒤따른다.
F65.3 관음증(Voyeurism)
성행위 중이거나 옷을벗는 행동과 비슷한 행위를 보려하는 지속적이고 재발적 경향. 관찰되는 사람
이 모르는 상태에서 행해지며 성적흥분과 수음행위로 이끌게 된다.
F65.4 소아 기호증(Paedophilia)
사춘기 이전이나 이른 사춘기 시기의 소년이나 소녀에 대한 성적 편애.
F65.5 가학-피학증(Sadomasochism)
고통을 주거나 굴욕, 속박이 내재된 성적활동을 좋아함. 만약 환자가 그러한 자극을 받기 좋아하면
피학대증이라 불리고 그 반대이면 가학대증이라 불린다. 환자는 종종 가학증 및 피학증 행위, 모두에
서 성적흥분을 느낀다.
피학증(被虐症)(Masochism)
가학증(加虐症)(Sadism)
F65.6 성 도착증의 다발성 장애(Multiple disorders of sexual preference)
한사람에게서 비정상적 성적편애가 한가지 이상 나타나며 그 어느 것도 우세한 증상으로 부각되지
않을때 쓰임. 배물증, 의상도착증과 가학대, 피학대 음란증이 가장 일반적 혼합형이다.
F65.8 기타 성 도착증(Other disorders of sexual preference)
외설스러운 전화, 사람이 붐비는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에게 비비는 것, 동물과 의 성행위, 성적 흥분을
강렬하게 하기위해 무산소 상태나 목졸림을 이용하는 것 등의 행위를 포함하는 기타의 다양한 성
도착증의 양상을 말한다.
마찰도착증(Frotteurism)
사간증(Necrophilia)
F65.9 상세불명의 성 도착증(Disorder of sexual preference, unspecified)
성적 편의(Sexual deviation) NOS

N62 유방의 비대(Hypertrophy of breast)
-
여성형 유방(Gynaecomastia)
유방의 비대(Hypertrophy of breast) NOS
심한 사춘기성 유방의 비대(Massive pubertal hypertrophy of breast)

N91 무월경, 소량 및 희발 월경(Absent, scanty and rare menstruation)
-
제외:난소 기능장애(ovarian dysfunction)(E28.-)
N91.0 원발성 무월경(Primary amenorrhoea)
사춘기때 월경 시작의 부전(Failure to start menstruation at puberty)
N91.1 속발성 무월경(Secondary amenorrhoea)
이전에 월경을 했던 여성의 월경 결여(Absence of menstruation in a woman who had previously
menstruated)
N91.2 상세불명의 무월경(Amenorrhoea, unspecified)
월경 결여(Absence of menstruation) NOS
N91.3 원발성 희발월경(Primary oligomenorrhoea)
월경의 처음 시작부터 소량 또는 희발 월경(Menstruation which is scanty or rare from the start)
N91.4 속발성 희발월경(Secondary oligomenorrhoea)
이전에 정상 월경을 가진 여성의 소량 및 희발 월경(Scanty and rare menstruation in a woman
with previously normal periods)
N91.5 상세불명의 희발월경(Oligomenorrhoea, unspecified)
과소월경(Hypomenorrhoea) NOS

N92 과다, 빈발 및 불규칙 월경(Excessive, frequent and irregular menstruation)
-
제외:폐경기후 출혈(postmenopausal bleeding)(N95.0)
N92.0 규칙적 주기를 가진 과다 및 빈발월경(Excessive and frequent menstruation with regular cycle)
다량 주기(Heavy periods) NOS
월경과다(Menorrhagia) NOS
빈발월경(Polymenorrhoea)
N92.1 불규칙적 주기를 가진 과다 및 빈발월경(Excessive and frequent menstruation with irregular cycle)
불규칙적인 월경간 출혈(Irregular intermenstrual bleeding)
월경 출혈간 불규칙, 짧아진 간격(Irregular, shortened intervals between menstrual bleeding)
과다부정 자궁출혈(Menometrorrhagia)
부정 자궁출혈(Metrorrhagia)
N92.2 사춘기때의 과다 월경(Excessive menstruation at puberty)
월경 주기 시작과 관련된 과다 출혈(Excessive bleeding associated with onset of menstrual
periods)
사춘기성 월경과다(Pubertal menorrhagia)
사춘기성 출혈(Puberty bleeding)
N92.3 배란 출혈(Ovulation bleeding)
규칙적 월경간 출혈(Regular intermenstrual bleeding)
N92.4 폐경기전 시기의 과다 출혈(Excessive bleeding in the premenopausal period)
갱년기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Climacteric menorrhagia or metrorrhagia)
폐경기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Menopausal menorrhagia or metrorrhagia)
갱년기전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Preclimacteric menorrhagia or metrorrhagia)
폐경기전성 월경과다 또는 부정자궁출혈(Premenopausal menorrhagia or metrorrhagia)
N92.5 기타 명시된 불규칙 월경(Other specified irregular menstruation)
N92.6 상세불명의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unspecified)
불규칙 출혈(Irregular bleeding) NOS
불규칙 주기(Irregular periods) NOS
제외 : 길어진 간격 또는 소량출혈을 동반한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with lengthened
intervals or scanty bleeding)(N91.3-N91.5)
짧아진 간격 또는 과다출혈을 동반한 불규칙 월경(irregular menstruation with shortened
intervals or excessive bleeding)(N92.1)

Z00 증상 호소 또는 보고된 진단명이 없는 사람의 일반적 검사 및 조사(General examination and investigation
of persons without complaint or reported diagnosis)
-
제외:특수 선별검사(special screening examinations)(Z11-Z13)
행정목적 검사(examination for administrative purposes)(Z02.-)
Z00.0 일반적 의학검사(General medical examination)
건강 점검(Health check-up) NOS
연간 정기 신체검사(Periodic examination, annual, physical)
제외:영아 또는 유아의 일반적 건강 점검(general health check-up of infant or child)(Z00.1)
한정된 소인구집단의 일반적 건강 점검(general health check-up of defined
subpopulations)(Z10.-)
Z00.1 일상적 어린이 건강검사(Routine child health examination)
영아 또는 소아의 발달검사(Development testing of infant or child))
제외 : 기아 또는 기타 건강한 영아 또는 유아의 건강 관리(health supervision of foundling or other
healthy infant or child)(Z76.1-Z76.2)
Z00.2 소아기 빠른 성장시기에 대한 검사(Examination for period or rapid growth in childhood)
Z00.3 청년 발달상태에 대한 검사(Examination for adolescent development state)
사춘기 발달 상태(Puberty development state)
Z00.4 달리 분류되지 않은 일반 정신과적 검사(General psychiatric examination, NEC)
제외:법의학적 이유로 요청받은 검사(examination requested for medicolegal reasons) (Z04.6)
Z00.5 장기와 조직의 잠재적 기증자에 대한 검사(Examination of potential donor of organ and tissue)
Z00.6 임상 탐구 계획에서 정상 비교 및 통제에 대한 검사(Examination for normal comparison and control
in clinical research programme)
Z00.8 기타 일반 검사(Other general examinations)
인구 조사상 건강 검사(Health examination in population surveys)


검색결과는 37 건이고 총 304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