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생명공학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Korean scientists have developed the world's first cholesterol-cutting
material which dissolves in water... In a press conference yesterday,
Eugene Science, a Korean biotechnology venture company, said that
it succeeded in combining plant sterol, a natural material reducing
cholesterol level, with water-soluble carriers. The new substance
was named "Ucole." The function and the safety of plant sterol have
already recogniz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우리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수용성 물질을 개발했다...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유진사이언스는
어제 기자회견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천연물질 플랜트 스테롤과
수용성 유도체 물질을 결합시킨 신물질 "유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플랜트 스테롤의 기능과 안정성은 이미
미국식품의약국의 인정을 받은 바 있다.

Most weeds are harmful, unwanted plants.
But a Danish biotech company has adapted one plant to help save lives.
Scientists in Copenhagen have genetically modified the plant
so that it changes from its normal green color to red when its roots touch nitrogen dioxide, a gas that leaks out of buried land mines and unexploded weapons.
Many of these explosives can remain active for over 50 years, emitting nitrogen dioxide all the while.
Getting rid of the mines from the ground is tedious, painstaking work.
But the color-changing plant, expected to be used regularly within two years, does present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the most common detection methods currently available ― humans with metal detectors and mine-sniffing dogs.
대부분의 잡초는 해롭고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식물이다.
그러나 덴마크의 한 생명공학 회사가 한 식물을 변형시켜서 생명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코펜하겐에 있는 과학자들이 식물을 유전적으로 변형시켰는데,
뿌리가 땅에 묻힌 지뢰와 폭발되지 않은 무기에서 새어나오는 기체인 이산화질소에 닿으면 식물이 원래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많은 폭발물은 50년 이상 줄곧 이산화질소를 방출하며 폭발력이 활성화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땅에서 지뢰를 제거하는 일은 지루하며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2년 내에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색깔이 변하는 식물은 현재 가장 보편적인 탐지 방법인, 금속 탐지기를 든 사람과 지뢰 탐지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대안이 된다.

[百d] 생물공학 [ 生物工學, biotechnology, 생명공학 ]

Artemisinin is the biotech world's name for qing haosu, a crystalline compound extracted from sweet wormwood, a weedy plant indigenous to China.
Artemisinin은 중국이 원산인 단 쑥과(果) 식물에서 채취한 수정체의 합성물인 qing haosu라는 생명공학계의 이름이다.
The curative powers of such plants are the basis of Asian traditional medicine and there are literally millions of plants, combinations, shamanistic traditions and household remedies claiming to beat disease or boost health.
그러한 식물들의 치료효력은 아시아의 전통적인 한약에 기반을 두고있으며 질병을 퇴치하거나 건강을 돋우는 데 효과가 있는 문자 그대로 수백만 가지의 식물, 결합물, 주술적인 전통과 민간요법들이 있다.
*Artemis (그神) 아르테미스(달과 사냥의 여신; 로마 신화의 Diana에 해당)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many efforts to enact a 'life ethics' law including assembling a council of specialists to review the relevant data.
우리 정부는'생명윤리법'을 제정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Last Septemb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at the draft bill had been passed.
지난 9월에는 보건복지부가 법률 초안을 입법 예고한 바 있다.
However, this bill not only forbade cloning human beings, but also cell cloning for research purposes and caused great opposition in the bioengineering industry.
그러나 이 법안은 인간개체의 복제뿐 아니라 연구목적의 인간 체세포 복제 자체를 사실상 금지해서 생명공학계의 심한 반발을 샀다.
It was later nullified and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punish someone who tries to clone human beings within Korea.
이로 인해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인간개체 복제를 국내에서 시도해도 처벌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Human cloning arouses many ethical questions such as when does human life begin, or whether it is right to use human embryos for experiments.
인간 체세포 복제는 인간생명이 언제 시작되느냐, 인간의 배아를 수단으로 삼을 수 있느냐 등 많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However, the science of cloning is also used for good purposes in many fields, such as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curable diseases, and organ transplants.
하지만 체세포 복제술은 난치병 치료와 예방, 장기이식 등 여러 분야에서 선용(善用)될 수 있기도 하다.
To ban cloning because of human cloning is the same as giving up a part of bioengineering, the 'flower' of 21st century industry.
인간복제를 연상해서 체세포 복제마저 금지하는 것은 21세기 산업의 꽃이라는 생명공학의 한 부분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It is because of these reasons that developed countries allow cell cloning on restricted levels.
선진국들이 생명공학의 가능성 때문에 체세포 복제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사정도 이 때문이다.

생화학 및 생명공학 서비스 Biochemical and biotechnology production
바이오매스 생산 서비스 Biomass production services
생단백질 생산 서비스 Bioprotein production services

이번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 '바이오소재'에 게재됐다.
The study was published in "Bio Materials," a world-renowned journal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Biosafety Protocol)
: 유전자변형생물체(농산물 등)의 국가간 이동, 즉 무역에 있어 생명공학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적인 절차를 규정하는 국제조약

Biotechnology for Clean Industrial Products and Processes
청정산업 및 공정을 위한 생명공학기술


검색결과는 10 건이고 총 6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